모든 것이 끝장난 줄만 알았던 화재 사건이 오히려 직원들을 똘똘 뭉치게 만드는 계기가 됐다. 그들이 몸담았던 성심당은 생각보다 훨신 소중한 삶의 터전이었다. 직원들은 현장 복구 과정을 거치며 몰라보게 성장햇다. 회사가 단순한 이해 집단이 아니라 하나의 운명공동체라는 사실을 머리가 아닌 몸으로 깨닫기 시작한 것이다. - 조금 긴 프롤로그 중에서성심당은 어떻게 다시 일어설 수 있었는가?저자 김태훈은 일찍이 문화 콘텐츠에 관심이 많아 20대 후반부터 문화정책 분야에서 일했다. 고향 경남 창원의 경남도민일보 문화부 기자를 거쳐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에서 7년 동안 정책과 홍보, 음악사업팀장 등의 업무를 맡아 문화산업 전반에서 폭넓게 일했다. 2011년부터 경남도민일보와 공동 설립한 지역 스토리텔링 연구소장을 맡아 ‘마산 원도심의 창동 오동동 이야기’를 비롯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2015년에는 여행인문학을 지향하는 ‘또다른세상협동조합’을 설립해 사무국장으로 일하고 있다. 성심당과는 6년 전부터 인연이 생겨 지역 문화와 함께 성장하는 로컬 기업 사례로 관심을 갖고 연구해 왔다. 저서로는 공저로 참여한 <소리바다는 왜>, <스토리텔링 레시피>, <가는 길이 내 길이다> 등이 있다.성심당은 1956년 밀가루 두 포대를 자산 삼아 대전역 노점 찐빵집으로 문을 열었다. 이후 60년 동안 "우리 곁에 불행한 사람을 둔 채로 혼자서는 절대 행복해질 수 없다"는 신념에 따라 나눔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매월 3천만 원 이상의 빵을 대전 시내 양로원과 고아원 등지에 기부해왔다. 2005년 큰 화재로 위기에 봉착했으나, 직원들과 시민들의 도움으로 기적적으로 재기에 성공했다. 2014년 한국을 방문한 프란치스코 교황의 식탁을 위해 KTX로 매일 갓 구운 빵을 배달해서 더 유명해진 성심당은 이제 직원 4백여 명이 함께하는 대전의 자부심이자 대전 청년들이 일하고 싶은 기업 1위로 꼽히고 있다. 무엇보다 EOC(ECONOMY OF COMMUNION)_모두를 위한 경제 를 적극 실천, 한국 경제 전반에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는 기업 경영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흥남부두의 추억배는 하나둘 떠나갔지만 부두 위 사람들의 숫자는 좀처럼 줄어들지 않았다. 마침내 배 한 척만 남은 22일 아침, 부두에는 아직 1만 5천 명에 가까운 인파가 강추위 속에서 간절하게 순서를 기다리고 있었다. 호청을 뜯어 만든 깃발 아래 옹기종기 모여 있던 임길순과 일행들을 미군 한 명이 유심히 쳐다보고 있엇다. 그가 다가와 깃발이 무엇을 뜻하는지 물었다. 신자증명서와 묵주를 들어 보이며 가콜릭 신도라는 사실을 알렸다.미군은 의미심장한 미소를 보이더니 배로 돌아갔다.바다 위에 떠 있던 마지막 배가 부두에 접안하고 피난민을 맞이할 준비를 마칠 즈음 아침에 만난 미군이 헌병 지프차를 타고 나타났다. 그는 임길순 일행을 배로 인도해 가장 좋은 자리로 안내했다. 기적처럼 배에 자리를 잡고 나자 일순간에 긴장이 풀리며 안도의 한숨이 흘러나왔다. 자리가 좁아도, 허기가 져도 어느 누구도 불평하지 않았다. 임길순은 그때 다짐했다. "이번에 살아날 수 있다면 평생 어려운 이웃을 위해 살겠다"튀김 소보로1980년 5월 20일, 단팥빵과 소보로, 도넛의 3단 합체품 튀김소보로가 성심당 매장에서 튀겨지기 시작했다. 첫날부터 튀김소보로 줄이 길게 늘어섰다. 반죽이 뜨거운 기름 속에 들어가 흰색에서 노란색으로, 또 마침내 붉은색으로 익어 꺼낼 때쯤이면 손님들의 입안은 이미 침으로 가득 고여 있었다. 시각과 청각, 그리고 후각까지 총동원한 기다림은 바로 구매로 이어졌다.기다린 시간이 아까웠는지 갓 구워낸 튀김소보로를 싹쓸이하는 손님들이 등장했다. 뒷쪽 손님들 사이에서 불만과 고성이 터져 나왔다. 거듭되는 싹쓸이는 다른 손님을 더 오래 기다리게 만들었고, 더 오래 기다린 손님들은 더 많이 싹쓸이하고 싶어하는 악순환이 벌어졌다. 급기야 고성을 주고받던 손님들이 서로 머리카락을 움켜쥐고 육탄전을 벌이는 일까지 생겼다. 이때 번호표 아이디어가 등장했다.혁신제품 포장빙수어떻게 하면 집에서도 녹지 않고 시원한 팥빙수를 즐길 수 있을까? 고민하던 영진(2대 CEO)의 머릿속에 병원에서 본 장면 하나가 문득 떠올랐다. 바로 링거병을 보관하던 스티로폼 박스였다. 링거액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쓰는 스티로폼 박스를 팥빙수에도 적용하면 어떨까? 영진은 당장 스티로폼 박스를 구해서 반을 잘라 그 안에 빙수를 넣고 실험해 보았다. 한여름 땡볕 아래에서 그 박스를 철봉에 매달고 녹을 때까지 흔들어도 봤다. 여러 차례 실험을 거쳐 빙수가 스티로폼 박스 안에서 세 시간을 버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세 시간이면 제법 먼 거리도 감당할 수 있는 시간이다. 곧바로 스티로폼 포장 박스를 디자인해서 3시간 氷 OK 포장빙수 가 탄생했다. 1983년 여름, 전국 최초의 포장빙수였다. 이렇게 포장빙수는 성심당의 혁신 아이콘이었다.잿더미 앞에서2000년대 들어서면서 매출이 급감하자 건물 매입시에 빌렸던 은행 차입금 50억원에 대한 이자 갚기도 어려웠다. 그래서 건물을 팔아 빚을 먼저 청산하기로 결심했다. 하지만 건물은 팔리지 않았다. 원도심 자체가 쇠락하고 있었기 때문에 누구도 그곳에 투자하려고 하지 않았다. 성심당은 서서히 지쳐가고 있었고 얼마를 더 버틸 수 있을지 기약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모두가 가장 힘든 고비를 넘어가고 있던 중에 2005년 1월 22일 토요일 저녁, 설날을 며칠 앞두고 성심당에 큰불이 났다. 옆 건물을 태운 불이 성심당으로 건너와 3층 공장이 완전히 전소됐다. 성심당의 모든 기능은 일시에 정지됐다. 결정적인 한방이었다. 마치 무적의 세계 챔피언을 상대로 근근이 버텨내던 도전자가 마지막 라운드에서 보기 좋게 KO를 당한 격이었다.새로운 비전선대 임길순의 나눔 정신을 계속 이어가고 있었지만 제대로 가고 있는지, 잘하고 있는지 확신이 들지 않았다. 온갖 어려움과 재정난을 겪으며 영진은 은퇴까지 고민할 정도로 마음고생이 심했다. 이렇게 캄캄하던 터널 속에서 영진 부부는 필리핀의 포콜라레새인류학교에서 EoC(모두를 위한 경제) 를 만났다. 이는 기업이 경영을 통해 공동선을 실현할 수 있다고 믿으며 이를 실천하는 경제 개념이다.필리핀에서 귀국한 부부는 곧바로 사업 현장에 EoC를 도입하기 시작했다. 제일 먼저 한 일은 그 당시 직원 한 명의 월급에 준하는 100만 원을 가난한 사람을 위한 EoC 기금으로 내어주는 것이었다. 1999년은 IMF 외환위기가 터진 지 2년도 채 안 되던 시기로 사회 전체가 구조조정으로 몸살을 앓고 있었다. 기업들은 회사를 살린다는 명분으로 인건비부터 손을 댔다. 명예퇴직과 정리 해고가 범람했고, 그 결과 가정이 파괴되고 노숙자가 폭증했다. 경영난에 빠진 성심당도 전문가들에게 조언을 구했다. 전문가들은 직원 수와 제품 수가 너무 많아서 비효율적이라고 지적했다. 해결책은 간단했다. 인건비를 줄이고 제품의 종류를 단순화하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부부는 이 조언을 따르지 않았다. 오히려 사람을 쳐내는 구조조정 대신 매출을 더 올리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성심당의 존재감성심당은 서울 롯데백화점에 입점해달라는 요청을 사양했다. 롯데백화점뿐만 아니라 많은 유통업계에서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하며 서울 입점 러브콜을 보냈지만 모두 거절했다. 서울은 대전과 비교할 수 없는 규모의 매출을 기대할 수 있는 곳이지만, 성심당은 대전을 벗어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유는 간단했다. 성심당이 굳이 대전을 벗어나서까지 영업해야 할 이유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미진은 이렇게 말했다."대전을 벗어나 서울에 자리 잡은 성심당을 과연 성심당이라 부를 수 있을까요? 물론 돈은 지금보다 훨씬 많이 벌겠지만 돈을 많이 버는 대신 우리 본질을 잃을 수도 있다고 판단했어요. 대전 사람들이 외지에서 온 손님들에게 성심당을 소개하고, 빵을 선물하며 대전에 성심당이라는 역사를 지닌 로컬기업이 있다는 데 자부심을 느끼는 모습을 보면서 대전에 와야만 만날 수 있는 빵집으로 그 가치를 지키고 싶었습니다"성심당의 거룩한 노동성심당에는 노동 이 있다. 돈이 돈을 낳는 파생상품 따위는 성심당에 존재하지 않는다. 회사의 미래를 위해 투자한답시고 부동산이나 금붙이를 사들이지도 않는다. 대신 사장부터 말단 직원에 이르기까지 성심당 사람들은 하나같이 우직하게 일한다. 그리고 그 노동을 소중하게 여긴다. 더 많은 노동이 필요할 때는 말단 직원에게 미루는 대신 간부들이 먼저 나서서 떠안는다. 성심당의 소통은 바로 이런 정직한 노동 위에서 이뤄진다. "백년가게의 전통을 만들어 나가길 기원한다"
밀가루 두 포대로 시작해 4백여 명이 함께하는 기업으로 성장한
기적의 빵집, 나눌수록 커지는 성심당의 60년 이야기가 펼쳐진다!
전국 3대 빵집, 빵 성지순례의 넘버원 코스 성심당은 단순히 유명 빵집이 아니다. 대전의 최부자집으로 불리며 성심당 덕분에 대전 시내에 굶는 사람이 없다는 이야기가 전해질 만큼 오랜 시간 어려운 이웃을 위해 빵을 나누어 왔다. 하루 빵 생산량의 1/3을 기부하고, 매달 3천만 원 이상의 빵을 기부하는 성심당은 1956년 대전역 노점 찐빵집으로 시작해 4백여 명이 함께 일하는 기업으로 성장했다. 세계적인 경제학자 루이지노 브루니 교수가 성심당의 철학과 경영방식이 다른 곳으로 퍼져 나가 100개의 중소기업이 생겨난다면 대기업 중심의 한국경제 구조 자체가 바뀔 것이다 라고 극찬한 성심당은 어떻게 대전 시민의 자부심이자 한국 경제의 대안으로 주목받게 된 것일까?
5년 동안 성심당을 연구해 온 저자가 1년여 인터뷰와 심층 취재를 통해 완성한 흥미진진한 성심당의 이야기는 몰입감이 높아 빠르게 읽힌다. 갑작스런 화재로 성심당이 잿더미가 된 상황에 기적적으로 회생하는 이야기에서는 한 편의 영화를 보는 듯 하며, 메가히트 튀김소보로와 연일 신제품을 쏟아 내는 흥미진진한 개발 스토리는 ‘제빵왕 김탁구’를 능가한다. 교황의 식탁을 위해 빵을 만들고, 한국 베이커리의 역사이자 동네 빵집이 도시와 함께 성장하며 모두가 행복한 경제를 이뤄가는 기적의 스토리, 그 파란만장한 60년 이야기를 이 책 한 권에 모두 담았다!
성심당
조금 긴 프롤로그
1. 바람 찬 흥남부두
·유엔군을 맞이한 함흥 · 절망의 그림자 · 정처 없는 피난길 · 피난민 구출 프로젝트
· 메러디스 빅토리호 · 크리스마스의 기적
2. 대전에 멈춰 선 기차
·거제 건너 진해로 · 서울 가는 기차 통일호 · 밀가루 두 포대 · 대전역 천막 노점 성심당
· 본격적인 나눔 · 은행동 153번지 · 본질뿐인 사람
3. 튀김소보로의 탄생
·구원투수 임영진 · 전문 제과점 시대 · 튀김소보로, 네버 엔딩 스토리 · 미술 교생 김미진
· 대전 문화1번지 대흥동 · 혁신의 아이콘 포장빙수 · 한국에서 두 번째 생크림 케이크
· 트렌드세터 성심당 · 6월 항쟁과 성심당 · 성심당의 효자상품
4. 불타는 성심당
·성심당 본점 시대 · 프랜차이즈 베이커리의 등장 · 최신 트렌드라는 덫
· 추락하는 대전 원도심 · 동생의 프랜차이즈 사업 · 영진의 잠적
· 프랜차이즈 성심당의 부도 · 극적인 화해 · 그리고 영원한 이별 · 잿더미 앞에 선 부부
· 프로젝트 ‘패스오버’ · 수습의 과정 · 성심당다움에 대하여 · ‘모든 이’의 발견
· 성심당의 아이덴티티
5. 새로운 비전
·멈춤 그리고 비움 · 포콜라레 운동 · 새로운 비전의 실천 · 화재가 준 선물
· 살아나는 성심당, 살아나는 원도심 · 무지개 프로젝트 · 한가족 프로젝트
· 성심당의 가족경영
6. 대전의 자부심
· 제빵왕 임탁구 · 대기업 자녀들의 베이커리 사업 · 대전 롯데백화점 입점
· 성심당의 고향, 대전역 입점 · 서울 소공동 나들이 · 로컬 기업 성심당의 존재감
· 중국 남초우 그룹과의 인연 · 교황의 식탁 그리고 훈장
7. 거룩한 노동
글쓴이의 에필로그
성심당의 에필로그
카테고리 없음